본문 바로가기
핫이슈

아바타의 현실화? 초전도체란 무엇인가 (feat.초전도체 관련주)

by Rocket91 2023. 8. 1.
반응형

 

초전도체란 무엇인가?

요즘 핫하게 떠오르고 있는 초전도체란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아래의 이미지와 같이 말할 수 있겠는데요.

이미지만 봐서는 감이 안 오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쉽게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지구, 아니 인간은 지금 전기 없이는 살 수 없게 되어버렸죠.

그런데 전기를 전달하는 과정은 굉장히 복잡하죠.

전기가 통하는 물체를 도체라고 하는데 이 도체는 어느 정도의 저항이 있습니다. 

이 저항 때문에 전기가 100% 전달하지 못하죠.

우리가 전자기기를 쓰다 보면 열이 오르는 걸 느낄 수 있는데 대부분이 이 저항 때문입니다.

 

 

그런데 이 '저항'이 없다면 과연 어떻게 될까요?

 

이 저항으로 인한 전기 손실이 없어지면서 다이렉트로 전기를 받을 수 있다면 우리의 생활은 더욱 풍족해질 겁니다.

예를 들어 저항이 없어져 모든 기기의 충전이  빨라지고 mri를 엑스레이 대신 찍는 시대가 올 것이고

ktx나 탈것들이 더 빨라지며 전기 증설을 해야 하는 시설물들 (상가, 공장 등)은 그럴 필요가 없어지겠죠.

전기세도 당연히 지금보다 훨씬 줄어들겠죠? 물론 지구환경문제도 빠른 시간 내에 해결될 수 있고요.

 

 

 

그런데 이 저항을 어떻게 없애나?

 

이 저항은 원자의 무작위 진동이 전자의 흐름을 방해해 나타내는데 이 진동을 약하게 만드는 게 바로 온도를 낮추는 방법인데요. 이 온도는 사람이 살 수 없는 온도까지 내려가야 저항을 받지 않는다고 해요. 초고압이 필요하기도 하고요.

그런데 사람이 살 수 있는 상온에서 저항을 받지 않는다면? 초고압이 필요하지 않는다면?

그야말로 우리가 영화에서나 보던 먼 미래의 일이 코앞으로 다가올 수도 있어요.

바로 '상온 상압 초전도체'가 만들어져 상용화된다면요.

 

전기저항을 받지 않는 것을 '초전도 현상'이라고 하며 초전도 현상을 보이는 물질을 '초전도체'라고 합니다.

 

 

그런데 초전도체를 대한민국에서 만들었다?

 

 

지금 난리죠?

한국에서 이와 비슷한 물질을 만들었다고 합니다.

고려대에서 여러 번의 실험 끝에 만들어냈다고 하는데 

아직 확실하게 만든 게 아니라고 하고 모노폴 전자석 일 수도 있다고 합니다. (이거여도 혁명)

그래서 지금 대한민국은 흥분상태입니다. 어떤 것이든 노벨상은 기본으로 깔고 가고 

대한민국은 세계에 우뚝 설 수 있게 될 것이라고요.

 

하지만 아직 제대로 검증이 되지 않았고 곧 정확한 실험 결과를 발표할 것이라고 합니다.

(만들긴 했지만 이론을 설명 못한다고..)

대한민국의 한 사람으로서 정말 이 실험이 성공적이었고 거짓이 아니었으면 좋겠네요.

이론을 설명 못 하지만 만들었잖아요. 비슷하게라도

이게 대한민국과 인류의 발전을 한 발자국 더 앞으로 가게 만들었다고 생각합니다.

특허도 이미 냈다고 하니 저는 기대해 봅니다.

 

 

 

 

그래서 찾아본 초전도체 관려주

이미 초전도체 관려주들은 급등을 했습니다.

 

 

 

서남, 덕성, 신성델타테크, 모비스, 원익피앤이

모두 초전도체 관려주들인데요

실험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들이 나왔는데도 

급등을 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그만큼 사람들의 기대가 크다는 얘기겠죠?

아마 실험 결과 발표 후에는 오르거나 폭락을 할지도 모르죠.

그러니 발만 살짝 담그실 분은 아주 살짝만 담가 맛만 보시고

조금 더 기다리실 분들은 좀 더 기다리세요

실험이 진짜 성공이어도 상용화까지는 몇 년이 걸릴 수 있으니까요. (진짜라면 노후자금이 될 수도 있겠네요)

 

저는 실험 결과 발표를 기다리며 관망해 보겠습니다.

더 밝은 대한민국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반응형